Loading [MathJax]/jax/element/mml/optable/MathOperators.js

ABOUT ME

울산 옥동에 있는 더플러스수학학원블로그입니다. 수능, 교육청, 삼사, 경찰대 등의 문제 풀이 동영상, 서울대 등 심층면접문제, 수리논술문제 풀이 영상 제공, 학생이 자기주도적 학습에 도움준다. 또, 울산과고를 위해 교과서인 심화수학, 고급수학, AP Calculus 등의 수업학교프린트 풀이를 제공한다. 여기의 풀이영상은 학원의 유투브인 더플러스수학(https://youtube.com/@THEPLUSMATH)에 있다.

Today
Yesterday
Total
  • [더플러스수학] 카탈란 수 - 생성함수(4)
    수학과 공부이야기 2021. 8. 6. 16:54

    2021.08.03 - [수학과 공부이야기] - [더플러스수학] 카탈란 수 - 점화식(3)

     

    [더플러스수학] 카탈란 수 - 점화식(3)

    카탈란 수란 무엇인가?에 대한 글 2021.08.02 - [수학과 공부이야기] - [더플러스수학] 카탈란 수 (1) 카탈란 수의 일반항에 대한 설명글 2021.08.03 - [수학과 공부이야기] - [더플러스수학] 카탈란 수 -

    plusthemath.tistory.com

    2021.08.03 - [수학과 공부이야기] - [더플러스수학] 카탈란 수 - 일반항(2)

     

    [더플러스수학] 카탈란 수 - 일반항(2)

    2021.08.02 - [수학과 공부이야기] - [더플러스수학] 카탈란 수 (1) [더플러스수학] 카탈란 수 (1) 이산수학 최경식(경문사)에서의 예에서 시작해보자. 요금이 5,000원인 어떤 영화가 보고

    plusthemath.tistory.com

     

    앞의 글에서 카탈란 수의 점화식과 일반항에 대하여 유도하였다. 

    카탈란 수 Cn=1n+12nCn은 다음의 점화식이 성립한다.

    Cn=C0Cn1+C1Cn2+C2Cn3++Cn1C0

    카탈란 수 Cn의 일반항

    Cn=1n+12nCn=2nCn2nCn1

    이편에서는 생성함수를 통하여 카탈란수의 점화식에서 일반항 Cn=1n+12nCn을 유도해 보자.

    먼저 생성함수가 무엇인지는 아래의 글을 참조하자.

    2020.10.07 - [수학과 공부이야기] - [수학의 기초] 생성함수에 대하여 (1) [더플러스수학]

     

    [수학의 기초] 생성함수에 대하여 (1) [더플러스수학]

    수학1의 수열에서 수학적 귀납법 단원 중 수열의 점화식이 나오는 문제를 풀 때, 점화식 마다 풀이 방법을 외워야 해서 학생들이 많이 힘들어 합니다. 물론 이 과정은 교과에 빠졌지만 상위권학

    plusthemath.tistory.com

    또, 카탈란 수의 생성함수를 구해보면 f(x)=114x2x가 나오는데 이것을 테일러 급수로 표현하여 xn의 계수를 구하고 이를 통해 Cn의 일반항을 구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x=(1+x)12의 테일러 급수를 구해야 한다. 이것을 일반화된 이항정리라고 부르는데 그 식을 다음과 같다.

     

    * 이항정리 

    자연수 n에 대하여

    (1+x)n=nr=0nCrxr=nC0+nC1x+nC2x2++nCrxr++nCnxn

     

    * 일반화된 이항정리

    실수 α에 대하여

    (1+x)α=nr=0αCrxr=αC0+αC1x+αC2x2++αCrxr+

    여기서 

    αCr=(αr)=α(α1)(α2)(αr+1)r!

    을 나타낸다. 이것은 테일러급수(매클로린 급수)의 xr의 계수이다. 그런데 이것을 조합의 형태로 적었다. 

    이제 α=12일 때, αCr을 간단히 계산해보자.

    12Cr=12(121)(122)(12r+1)r!=1r!×12×(12)×(32)×{(2r3)2}=1r!×(1)r12r×{1×3×5××(2r3)}=(1)r1r!×2r×(2r2)!2×4××(2r2)=(1)r1×(2r2)!r!×2r×2r1×(r1)!  (1)

     

    이제 점화식

    C0=1, Cn=C0Cn1+C1Cn2+C2Cn3++Cn1C0 (n1)  (2)

    을 만족하는 생성함수 f(x)=r=0Crxr=C0+C1x+C2x2++Crxr+라 두고 우리는 이 함수의 xr의 계수 Cr를 구하면 그것이 카탈란 수의 일반항이다.

    또 여기서 C0Cn1+C1Cn2+C2Cn3++Cn1C0이 생성함수 f(x)의 제곱의 xn1의 계수가 됨을 아래와 같이 보이자.

    {f(x)}2=(C0+C1x+C2x2++Crxr+)2=a0+a1x+a2x2++arxr+

    라 할 때,

    a0=C0×C0, a1=C0×C1+C1×C0,  a2=C0×C2+C1×C1+C2×C0,

    ar=C0×Cr+C1×Cr1+C2×Cr2++Cr×C0,

    이다. 따라서 (2)식의 양변에 xn1을 곱하여 n=1를 취하자.

    n=1Cnxn1=n=1{C0Cn1+C1Cn2+C2Cn3++Cn1C0}xn1

    위의 식의 좌변은

    n=1Cnxn1=1xn=1Cnxn=1x{n=0CnxnC0}=1x{f(x)C0}=1x{f(x)1}

    이고 우변은 

    n=1{C0Cn1+C1Cn2+C2Cn3++Cn1C0}xn1={f(x)}2

    이므로

    1x{f(x)1}={f(x)}2

    근의 공식에 의해 \displaystyle  f(x)  를 구하면

    \displaystyle f(x)=\frac{1\pm \sqrt{1-4x}}{2x}

    생성함수 \displaystyle f(x) \displaystyle f(x)=C_0 +C_1 x+C_2 x^2 + \cdots +C_r x^r +\cdots이고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0+}f(x)=C_0 =1 이므로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0+} \frac{1 + \sqrt{1-4x}}{2x}  =\infty

    \displaystyle  \begin{align} \lim_{x \rightarrow 0+} \frac{1 -\sqrt{1-4x}}{2x}  &= \lim_{x \rightarrow 0+} \frac{4x}{2x(1 + \sqrt{1-4x})}\\&=\lim_{x \rightarrow 0+} \frac{2}{ 1 + \sqrt{1-4x}   }=1\end{align}

    에서 

    \displaystyle f(x)=\frac{1- \sqrt{1-4x}}{2x}

    이다.  이제  이 생성함수 \displaystyle f(x)\displaystyle x^n 의 계수가 카탈란 수의 일반항이다.

    \displaystyle f(x)에서 \displaystyle \sqrt{1-4x} 을 (1)에서 구한 

    \displaystyle  {}_{\frac{1}{2}} \mathrm{C}_r x^r =\frac{(-1)^{r-1} \times (2r-2)!}{r! \times 2^r \times 2^{r-1}\times (r-1)! } x^r

    에  \displaystyle x 대신에  \displaystyle -4x를  \displaystyle r 대신  \displaystyle (n+1)을 대입하자. 그러면 \displaystyle (n+1)차항을 구할 수 있다.  \displaystyle (n+1)차항의 계수에  \displaystyle (-1)을 곱하여  \displaystyle 2로 나누면 그것이 생성함수 \displaystyle f(x)\displaystyle n차항의 계수 즉 \displaystyle C_n이다.

    \displaystyle  \begin{align}{}_{\frac{1}{2}} \mathrm{C}_{n+1} (-4x)^{n+1} & =\frac{(-1)^{n} \times (2n)!}{(n+1)! \times 2^{n+1} \times 2^{n}\times n! } (-4x)^{n+1}\\&=\frac{(-1)^{n} \times (2n)! \times (-1)^{n+1}4^{n+1}}{(n+1)! \times 2^{n+1} \times 2^{n}\times n! } x^{n+1}\\&=- 2\times \frac{(2n)! }{(n+1)! \times n!}x^{n+1} \cdots \cdots (3)\end{align}

    따라서

    \displaystyle   f(x)  의  \displaystyle n차 항의 계수는 \displaystyle   \sqrt{1-4x}의  \displaystyle  (n+1)차 항의 계수를  \displaystyle -2로 나눈 것이다. 즉 

    \displaystyle \begin{align} C_n &= - 2\times \frac{(2n)! }{(n+1)! \times n!} \times \frac{1}{(-2)} \\&=\frac{(2n)!}{(n+1)!\times n!}=\frac{1}{n+1} \frac{(2n)!}{n! \times n!} \\&=\frac{1}{n+1}{}_{2n}\mathrm{C}_{n}  \end{align}

    따라서 \displaystyle n \geq0일 때,

    \displaystyle   C_n =\frac{1}{n+1}{}_{2n}\mathrm{C}_{n}

    이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