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더플러스수학] 케일리-해밀턴 정리의 증명 - 고윳값, 고유벡터 이용
    수학과 공부이야기 2021. 8. 9. 18:47
    반응형

    과학고 학생들과 고급수학1 수업을 하는 과정에서 고윳값, 고유벡터, 특성 다항식, 케일리 해밀턴 정리를 만나게 되었다.

    이 내용에 대하여 가볍게 정리하고, \(\displaystyle 2\)차 정사각형렬 \(\displaystyle A\)가 \(\displaystyle 2\)개의 서로 다른 고윳값과 고유벡터를 가질 때, 케일리 해밀턴 정리가 성립함을 증명해 보겠다. 


    정의 고윳값, 고유벡터, 특성다항식, 특성방정식

    \(\displaystyle 2\)차 정사각형렬 \(\displaystyle A\)와 실수 \(\displaystyle \lambda\)에 대하여

    \(\displaystyle A \vec x =\lambda \vec x \)

    를 만족하는 \(\displaystyle  \vec 0\)이 아닌 벡터 \(\displaystyle \vec x \)가 존재할 때, \(\displaystyle \lambda \)를 행렬 \(\displaystyle A\)의 고윳값이라 하고, \(\displaystyle \vec x \)를 행렬 \(\displaystyle A\)의 고유벡터라고 한다.

    이차 정사각형렬 \(\displaystyle A \)과 이차의 단위행렬 \(\displaystyle I \)에 대해

    \(\displaystyle A \vec x =\lambda \vec x \)    \(\displaystyle (A-\lambda I)\vec x = \vec 0 \)         (1)

    를 만족하는 \(\displaystyle  \vec 0\)이 아닌 벡터 \(\displaystyle \vec x \)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displaystyle \det(A-\lambda I)=0\)

    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displaystyle 0\)이 아니면 \(\displaystyle A-\lambda I\)가 역행렬이 존재하기 때문에 (1)에 \(\displaystyle A-\lambda I\)의 역행렬를 곱하면 \(\displaystyle \vec x = \vec 0\)이 되므로 \(\displaystyle  \vec 0\)이 아닌 벡터 \(\displaystyle \vec x \)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 \(\displaystyle 2\)차의 다항식 \(\displaystyle \det(A-\lambda I) \)를 \(\displaystyle A\)의 특성다항식이라 한다. 또, \(\displaystyle \det(A-\lambda I)=0\)을 특성방정식이라고 한다.


     

    이제 \(\displaystyle A= \begin{bmatrix} 1&3\\3&1\end{bmatrix} \)의 특성다항식을 구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고유값과 고유벡터를 구해보자.

    \(\displaystyle A \vec x =\lambda \vec x \)          \(\displaystyle (A-\lambda I)\vec x = \vec 0 \)  

    \(\displaystyle  \begin{bmatrix} 1-\lambda&3\\3&1-\lambda \end{bmatrix}  \begin{bmatrix} x\\y \end{bmatrix} =\begin{bmatrix} 0\\0 \end{bmatrix} \)        (2)

    에서 \(\displaystyle \det(A-\lambda I)=0\)이므로

    \(\displaystyle \left|\begin{matrix} 1-\lambda&3\\3&1-\lambda \end{matrix}\right|=0\)

    따라서 

    \(\displaystyle (1-\lambda)(1-\lambda)-9=0\)   \(\displaystyle \lambda^2 -2\lambda -8=0\)

    \(\displaystyle \lambda =-2\) 또는 \(\displaystyle \lambda =4\) 

    이 때,  다항식 \(\displaystyle \lambda^2 -2\lambda -8\)이 특성다항식이다. 또, 고윳값은 \(\displaystyle  -2,~4\)이다.

    첫째, \(\displaystyle \lambda =-2\) 일 때, 

    (2)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displaystyle x+y=0 \)

    고유벡터는

    \(\displaystyle   t \begin{bmatrix} 1 \\-1 \end{bmatrix} \)  (\(\displaystyle t\)는 \(\displaystyle 0\)이 아닌 실수) 

    둘째, \(\displaystyle \lambda =4\) 일 때,

    (2)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displaystyle -x+y=0 \)

    고유벡터는

    \(\displaystyle   s \begin{bmatrix} 1 \\1 \end{bmatrix} \)  (\(\displaystyle s\)는 \(\displaystyle 0\)이 아닌 실수) 

     


    케일리 해밀턴 정리

    행렬 \(\displaystyle A\)가 \(\displaystyle n\)차 정사각행렬일 때, 특성다항식은

    \(\displaystyle p(\lambda)= \lambda ^n + c_{n-1} \lambda^{n-1}+c_{n-2} \lambda^{n-2}+\cdots+c_{2} \lambda^{2}+ c_{1} \lambda^{1}+c_0\)

    와 같은 꼴의 \(\displaystyle \lambda\)에 대한 \(\displaystyle n\)차 다항식이다.

    이 때, 

    \(\displaystyle p(A)= A ^n + c_{n-1} A^{n-1}+c_{n-2} A^{n-2}+\cdots+c_{2} A^{2}+ c_{1} \lambda^{1}+c_0 = O\)

    이 성립한다.  여기서 \(\displaystyle O\)는 \(\displaystyle n\)차 정사각행렬이다.

    이를 케일리-해밀턴 정리라고 한다.

    참고 \(\displaystyle 2\)차 정사각행렬 \(\displaystyle A =   \begin{bmatrix} a&b\\c&d  \end{bmatrix}  \)에 대하여

    \(\displaystyle A ^2 -(a+d)A+(ad-bc)I=O\)

    이 성립한다.


     

    위의 예에서 행렬 \(\displaystyle A= \begin{bmatrix} 1&3\\3&1\end{bmatrix} \)는

    \(\displaystyle A ^2 -2 A-8I=O\)

    이 성립한다.

    케일리 해밀턴 정리가 성립함을 보이는 것은 생각보다 많이 어렵다. 여기서는 \(\displaystyle 2 \)의 정사각행렬 \(\displaystyle A \)가 서로 다른 두 고유벡터를 갖는다는 조건에서 증명해보겠다. 일반적으로 하지 않고 위의 행렬 \(\displaystyle A= \begin{bmatrix} 1&3\\3&1\end{bmatrix} \)를 가지고 증명하자.

    행렬 \(\displaystyle A \)는 고윳값, 고유벡터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displaystyle  A   \begin{bmatrix} 1\\-1 \end{bmatrix} =-2\begin{bmatrix} 1\\-1 \end{bmatrix} \), \(\displaystyle  A   \begin{bmatrix} 1\\1 \end{bmatrix} =4\begin{bmatrix} 1\\1 \end{bmatrix} \)

    또, 특성방정식은 \(\displaystyle \lambda^2 -2\lambda -8=0\)이다. 여기서 \(\displaystyle \lambda_1 =-2,~\lambda_2 =4\)라 하고 이것은 특성방정식의 두 근이다. 또, 각각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를

    \(\displaystyle  v_1=   \begin{bmatrix} 1\\-1 \end{bmatrix} ,~v_2 \begin{bmatrix} 1\\1 \end{bmatrix}  \)

    두자. 그러면 

    \(\displaystyle  A   \vec v_1 =\lambda_1 \vec v_1 \), \(\displaystyle  A   \vec v_2 = \lambda_2 \vec v_2 \)

    특성 방정식의 \(\displaystyle \lambda \) 에 특성방정식의 근 \(\displaystyle \lambda_1 \)을 대입하고 양변에 고유벡터 \(\displaystyle v_1\)을 곱하면

    \(\displaystyle (\lambda_1^2 -2\lambda_1 -8)v_1 = 0 \vec v =\vec 0\)     (4)

    여기서 \(\displaystyle \lambda_1 \vec v_1 = A \vec v_1 \)이다. 또,

    \(\displaystyle \lambda_1^2 \vec v_1 =  \lambda_1 (\lambda_1  \vec v_1 ) =\lambda_1 ( A \vec v_1 )= A (\lambda_1 \vec{v_1})= A(A \vec v_1 ) = A^2 \vec v_1 \)

    이고  \(\displaystyle 1 \vec v_1 = I \vec v_1 \)이므로 (4)는

    \(\displaystyle (\lambda_1^2 -2\lambda_1 -8)v_1 =( A^2 -2A-8I)\vec v_1 =\vec 0\) 

    \(\displaystyle  ( A^2 -2A-8I) \begin{bmatrix} 1\\1 \end{bmatrix} = \begin{bmatrix} 0\\0 \end{bmatrix} \)   (5)

    고윳값 \(\displaystyle \lambda_2 \)과 고유벡터 \(\displaystyle v_2\)에 대하여도 똑같이 성립하므로

    \(\displaystyle  ( A^2 -2A-8I) \begin{bmatrix} 1\\-1 \end{bmatrix} = \begin{bmatrix} 0\\0 \end{bmatrix} \)  (6)

    이다.  (5), (6)에서 

    \(\displaystyle  ( A^2 -2A-8I) \begin{bmatrix} 1&1\\1&-1 \end{bmatrix} = \begin{bmatrix} 0&0\\0&0 \end{bmatrix} \)

    이다. 여기서 고유벡터가 서로 평행하지 않고 \(\displaystyle \vec 0 \)이 아니므로 행렬 \(\displaystyle \begin{bmatrix} 1&1\\1&-1 \end{bmatrix} \)은 역행렬이 존재하므로 양변에 오른족에 역행렬을 곱하면

    \(\displaystyle   A^2 -2A-8I    = \begin{bmatrix} 0&0\\0&0 \end{bmatrix}=O \)

    \(\displaystyle 2\)차의 행렬 \(\displaystyle A\)가 일차독립인 고유벡터 두 개 가지면 -케일리 해밀턴 정리가 성립한다.  이것을 일반화하여 \(\displaystyle n\)차의 행렬 \(\displaystyle A\)가 서로 일차독립인 고유벡터를 \(\displaystyle n\)개 가지면 위의 과정을 거쳐 케일리 해밀턴 정리가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가 아닌 경우는 많이 복잡하고 여렵다.

    이것은 나중 기회에....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