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입실론-델타논법] 극한의 기본성질 증명(2) [더플러스수학학원]
    수학과 공부이야기 2024. 12. 20. 18:57

     
    이제 입실론-델타논법으로 극한의 기본성질을 증명하자. 입실론-델타논법에 대하여 궁금하면 다음을 보세요. 
    2024.12.15 - [수학과 공부이야기] - [입실론-델타논법] 극한의 기본성질 증명(1) [더플러스수학학원]

    https://plusthemath.tistory.com/563

    [수학의 기초]샌드위치정리 증명 입실론델타논법 [더플러스수학학원]

    이번엔 미적분에서 극한 단원에서 중요한 정리 중 하나인 샌드위치 정리에 대해 입실론델타논법으로 증명할께요.그럼 먼저 다음처럼 입실론델타논법으로 함수의 극한을 정의하자.$\displaystyle \l

    plusthemath.tistory.com



    먼저 함수의 극한에 대한 엄밀한 정의를 적으면 다음과 같다.

    함수의 극한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f(x)=L$의 정의
    임의의 $\epsilon>0$에 대하여 적절한 $\delta=\delta(\epsilon)$가 존재하여
    $\textcolor{red}{0}< | x-c|< \delta$       $\Longrightarrow $    $|f(x)-L|<\epsilon$

    영어로 쓰면

    Definition of Limits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f(x)=L$
    Let $\epsilon>0$ be given, then we can find $\delta=\delta(\epsilon)$ such that
    $\textcolor{red}{0}< | x-c|< \delta$       $\Longrightarrow $    $|f(x)-L|<\epsilon$

     
    함수의 극한의 기본성질은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f(x)=L,~\lim_{x \rightarrow c} g(x)=M$이라 할 때,
    (1) 상수 $k$에 대하여 $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k f(x)=k L$
    (2) $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left\{f(x) \pm g(x)\right\}=L+M $
    (3)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left\{f(x) \ g(x)\right\}=L M $
    (4)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frac{f(x)}{g(x)}=\frac L M $  (단, $M \neq 0$)

    (증명) 
    (1)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f(x)=L$이므로
    (i) $k \neq 0$일 때,
    $\displaystyle \epsilon>0$이 주어졌다고 하자.
    적당한 $\displaystyle \delta>0$가 존재하여

    $\displaystyle 0< |x-c| <\delta $  이면 $\displaystyle \left| f(x) -L \right| < \textcolor{red}{\boxed{\,\,\,}}\,\, \epsilon$

    *여기서 $\displaystyle \textcolor{red} { \boxed{\,\,\,}} $에 들어갈 숫자를 결정해야 한다.

    $\displaystyle \left| kf(x) -k L \right| = |k|| f(x)- L | <| k| \times \frac{\epsilon}{|k|} = \epsilon$

    따라서 $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k f(x)=k L$이다.

    위의 꼴을 보면 $\displaystyle   \boxed{\,\,\,} =\textcolor{red}{ \frac{\epsilon}{|k|}} $임을 알 수 있다.

    (ii) $k=0$일 때,
    $\displaystyle \epsilon>0$이 주어졌다고 하자.  어떤 $\delta>0$를 잡더라도

    $\displaystyle 0< |x-c| <\delta $  이면  $\displaystyle \left| kf(x) -k L \right| =   |0-0 | < \epsilon$

    따라서 $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k f(x)=k L$이다.

    (2)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f(x)=L,~\lim_{x \rightarrow c} g(x)=M$라 가정하면

    임의의 $\displaystyle \epsilon>0$에 대하여 적당한 $\displaystyle \delta_1 >0$가 존재하여

    $\displaystyle 0< |x-c| <\delta_1 $  이면 $\displaystyle \left| f(x) -L \right| < \textcolor{red}{\boxed{\,\,\,}}  \,\, \epsilon$    $\cdots\cdots$ ①

    또, 적당한 $\displaystyle \delta_2 >0$가 존재하여

    $\displaystyle 0< |x-c| <\delta_2 $  이면 $\displaystyle \left| g(x) -M \right| < \textcolor{red}{\boxed{\,\,\,}}  \,\, \epsilon$  $\cdots\cdots$

    *여기서 $\displaystyle\textcolor{red}{   \boxed{\,\,\,}} $에 들어갈 숫자를 결정해야 한다.
    여기서 $\textcolor{red}{\delta }= \min \left\{ \delta_1 ,~\delta_2 \right\}$라 두면 $\displaystyle 0< |x-c| <\delta $ 이면 ①, ② 둘 다 만족하므로

    $\displaystyle 0< |x-c| <\delta $이면
    $\displaystyle \begin{aligned}  \left| \left\{f(x) +g(x) \right\} -( L+M) \right| &= \left| \left\{f(x) -L\right\}+\left\{g(x) -M\right\}\right| \\&\leq   \left|f(x) -L\right|  + \left|g(x) -M\right|  < \frac{\epsilon}{2}+ \frac{\epsilon}{2}  = \epsilon \end{aligned}$
    따라서 ①, ②의 박스 안의 수는 둘 다  $\displaystyle   \boxed{\,\,\,} =\textcolor{red}{ \frac{\epsilon}{2}} $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첫번째 박스를 $\displaystyle   \boxed{\,\,\,} =\textcolor{red}{ \frac{2\epsilon}{3}} $, 두 번째 박스를 $\displaystyle   \boxed{\,\,\,} =\textcolor{red}{ \frac{1\epsilon}{3}} $로 해서 두 박스의 합이 $\epsilon$이 되면 된다.
     
    (3)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f(x)=L,~\lim_{x \rightarrow c} g(x)=M$라 가정하자. 여기서 먼저 삼각부등식을 이용하여 변형하면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begin{aligned}  \left| \left\{f(x) g(x) \right\} - LM \right| &= \left| \left\{f(x) -L\right\}g(x) +L\left\{g(x) -M\right\}\right| \\&\leq   \left|f(x) -L\right| \textcolor{red}{\left| g(x) \right|} +\textcolor{blue}{ \left|L \right|} \left|g(x) -M\right|  \end{aligned}$  $\cdots\cdots$ (*)

    위에서 붉은 색 부분을 변형하여 $x$의 값과 관계없는 값으로 표현해야 하며 또, 푸른 색 부분에서 $|L|$의 값이 $0$이 될 수 있으니 $|L|+1$로 바꿔 $0$이 안되게 하자.

    붉은 색 부분을 변형해 보자.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g(x)=M$이므로 극한의 정의에 의해 $\epsilon=1$일 때도 성립하므로
    적당한 $\delta_1>0$이 존재하여

    $\displaystyle 0< |x-c| <\delta_1 $이면 $\displaystyle |g(x) -M| <1$

    가 성립한다. 또, 이 식을 삼각부등식으로 변형하면

    $\displaystyle |g(x)|-|M| \leq  |g(x) -M| <1$

    이므로

    $\displaystyle |g(x)| <|M| +1$      $\cdots\cdots$ 

    또,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f(x)=L,~\lim_{x \rightarrow c} g(x)=M$이므로

    임의의 $\epsilon>0$에 대하여 적당한 양수 $\delta_2, ~\delta_3$이 존재하여

    $\displaystyle 0< |x-c| <\delta_2 $이면 $\displaystyle |f(x) -L| < \textcolor{red}{\boxed{\,\,\,}}  \,\,  \epsilon$    $\cdots\cdots$ ②
    $\displaystyle 0< |x-c| <\delta_3 $이면 $\displaystyle |g(x) -M| < \textcolor{red}{\boxed{\,\,\,}}  \,\,  \epsilon$    $\cdots\cdots$ ③

    ①, ②, ③을 이용하여  (*)을 변형해 보자.

    여기서 $\textcolor{red}{\delta }= \min \left\{ \delta_1 ,~\delta_2 ,~\delta_3\right\}$라 두면 $\displaystyle 0< |x-c| <\delta $ 이면 ①, ② , ③ 모두 만족하므로 

    $\displaystyle 0< |x-c| <\delta $이면
    $\displaystyle \begin{aligned}  \left| \left\{f(x) g(x) \right\} - LM \right| &= \left| \left\{f(x) -L\right\}g(x) +L\left\{g(x) -M\right\}\right| \\&\leq   \left|f(x) -L\right|  \left| g(x) \right|  +  \left|L \right|  \left|g(x) -M\right| \\&\leq\left|f(x) -L\right|  (|M|+1)+(|L|+1)\left|g(x) -M\right| \\&< \frac{\epsilon}{2(|M|+1)}(|M|+1)+(|L|+1) \frac{\epsilon}{2 (|L|+1) } \\&= \frac{\epsilon}{2} + \frac{\epsilon}{2}=  {\epsilon}    \end{aligned}$
    따라서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left\{f(x) \ g(x)\right\}=L M $이다.

    따라서 ②, 의 박스 안의 수는 각각 $\displaystyle   \boxed{\,\,\,} =\textcolor{red}{  \frac{\epsilon}{2(|M|+1)} } $ ,  $\displaystyle   \boxed{\,\,\,} =\textcolor{red}{ \frac{\epsilon}{2(|L|+1)} } $임을 알 수 있다.

    (4) (4)를 증명하기 위해 먼저 $0$이 아닌 $M$에 대하여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g(x)=M$이면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frac{1}{g(x)}=\frac{1}{M}$    $\cdots\cdots$ ①

    임을 보이자.

    그러면 $\displaystyle \frac{f(x)}{g(x)}= f(x) \times \frac{1}{g(x)}$로 변형하면 이것과  ①과 (3)을 이용하면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frac{f(x)}{g(x)}=\frac L M$ 이 증명된다.

    이제 증명하자.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g(x)=M$이므로 $\displaystyle \epsilon=\frac{|M|}{2}$일 때도 성립하므로 적당한 $\delta_1>0$이 존재하여 

    $\displaystyle 0< |x-c| <\delta_1 $이면   $\displaystyle | g(x)-M| < \frac{|M|}{2} $

    에서 삼각부등식을 적용하면

    $\displaystyle |M| =\left|g(x)+ \left\{M-g(x)\right\}\right| \leq |g(x)|+ \left| M-g(x)\right| < |g(x)|+ \frac{|M|}{2}$

    $\displaystyle |M|  < |g(x)|+ \frac{|M|}{2}$

    $\displaystyle \therefore~| g(x)| >  \frac{|M|}{2} $      $\cdots\cdots $

    또,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c} g(x)=M$이므로
    임의의 $\epsilon>0$에 대하여 적당한 $\delta_2>0$이 존재하여 

    $\displaystyle 0< |x-c| <\delta_2 $이면 $\displaystyle | g(x)-M| < \textcolor{red}{\boxed{\,\,\,}}  \,\, \epsilon $
    이제 여기서 $\textcolor{red}{\delta }= \min \left\{ \delta_1 ,~\delta_2 \right\}$라 두면 $\displaystyle 0< |x-c| <\delta $ 이면 ①, ②를 모두 만족하므로 
    $\displaystyle \begin{aligned}  \left| \frac{1}{g(x)}-\frac{1}{M} \right| &= \frac{\left| g(x)-M\right|}{|g(x)||M|}\\&< \frac{2}{|M|^2}\left| g(x)-M \right| \\& < \frac{2}{|M|^2} \times \frac{|M|^2} {2} \epsilon =\epsilon \end{aligned}$
    $\displaystyle \therefore~  \lim_{x \rightarrow c} \frac{1}{g(x)}=\frac{1}{M}$
    * $\displaystyle   \textcolor{red}{\boxed{\,\,\,}}     $의 값은 $\displaystyle   \textcolor{red}{ \frac{|M|^2}{2}}     $이다.
    증명이 다 되었다.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더플러스수학
    https://naver.me/FsR64KUy

    과학고전문더플러스수학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더플러스수학학원은 울산 옥동에 위치한 수학 전문 학원으로, 과학고 학생들의 내신 대비에 특화된 맞춤형 학습을 제공합니다. 권도형 원장은 서울대 무기재료공학과 졸업, 부산대 수학과 석사

    contents.premium.naver.com

    입니다. 여기엔 과학고3학년이 배우는  Ap미적분 에 대한 강의영상과 자료가 있습니다.

    더플러스수학학원
    울산 남구 대공원입구로21번길 45-1 2층
    https://naver.me/xIhg4CMX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