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울산 옥동에 있는 더플러스수학학원블로그입니다. 수능, 교육청, 삼사, 경찰대 등의 문제 풀이 동영상, 서울대 등 심층면접문제, 수리논술문제 풀이 영상 제공, 학생이 자기주도적 학습에 도움준다. 또, 울산과고를 위해 교과서인 심화수학, 고급수학, AP Calculus 등의 수업학교프린트 풀이를 제공한다. 여기의 풀이영상은 학원의 유투브인 더플러스수학(https://youtube.com/@THEPLUSMATH)에 있다.

Today
Yesterday
Total
  • [수학의 기초] 자연상수 ee 무리수 증명
    수학과 공부이야기 2019. 11. 16. 00:18

    1.

    exex이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고 하자.

    Taylor Series

    ex=1+x1!+x22!++xnn!+ex=1+x1!+x22!++xnn!+

    여기에 x=1x=1을 대입하면

    e=1+11!+12!++1n!+e=1+11!+12!++1n!+ 

    이다.

    (1) 다음을 증명하여라.

    0<e(1+11!+12!++1n!)<1n!n0<e(1+11!+12!++1n!)<1n!n

     

     

    정답 및 풀이을 보려면 아래를 클릭하세요.

     

    더보기

    0<e(1+11!+12!++1n!)=1(n+1)!+1(n+2)!+1(n+3)!+=1n!(1n+1+1(n+1)(n+2)+1(n+1)(n+2)(n+3)+)<1n!(1n+1+(1n+1)2+(1n+1)3+)=1n!1n+111n+1=1nn!

     

    (2) e가 무리수임을 증명하여라.

     

     

    정답 및 풀이을 보려면 아래를 클릭하세요.

     

    더보기

    e가 유리수라 가정하자. 그러면 자연상수 e는 정수 p (0), q에 대하여

    e=qp

    로 적을 수 있다.

    p!×e는 자연수이다. 그런데 (1)의 부등식에서

    0<e(1+11!+12!++1p!)<1p!p

    이 성립하고, 이 부등식의 양변에 $ \displaystyle p! ~( >0) $를 곱하면

    0<p!ep!(1+11!+12!++1p!)<1p

    이다. 그런데 의 정수이고 0<1p<1이므로 위의 부등식을 만족하는 정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 \displaystyle e $는 무리수이다.

     

     

    2. 

    e(=2.7182)를 자연로그의 밑이라 하자.

    (1) n=1, 2, 3, 에 대하여 함수 fn(x)

    fn(x)=1+x+x22!++xnn!

    이라 하자. x>0일 때,

    fn(x)<ex<fn(x)+xn+1ex(n+1)!

    임을 보여라.

     

    (2) n=2, 3, 4, 일 때,

    0<n!e{n!+1+(n+n(n1)+n(n1)(n2)++n!)}<1

    임을 보여라.(반드시 (1)을 이용해라.)

     

    (3) e는 유리수가 아님을 보여라.

     

     

     

     

    정답 및 풀이을 보려면 아래를 클릭하세요.

     

    더보기

    (1)
    (a) Fn(x)=exfn(x)=ex(1+x+x22!++xnn!)라 두자. 수학적 귀납법으로 Fn(x)>0임을 증명하겠다.

    (i) n=1일 때,

    F1(x)=exf1(x)=ex(1+x)에서 x>0일 때,

    F1(x)=ex1>0이므로 F1(x)는 증가함수이다. 또 F1(0)=0이다. 

    따라서 x>0일 때 F1(x)>0이다.

    (ii) n=k일 때, Fk(x)=ex(1+x+x22!++xkk!)>0라 가정하자.

    Fk+1(x)=ex(1+x+x22!++xk+1(k+1)!)를 미분하면

    Fk+1(x)=ex(1+x+x22!++xkk!)=Fk(x)이고 가정에서 Fk(x)>0이므로 Fk+1(x)는 증가함수이다. 또 Fk+1(0)=0이다. 따라서 x>0일 때, Fk+1(x)>0이다.

    (b) 이번엔 ex<fn(x)+xn+1ex(n+1)!  (i)임을 보이겠다.

    Gn(x)=fn(x)+xn+1ex(n+1)!ex이라 할 때, (i)는 x>0일 때, Gn(x)>0임을 보이는 것과 동치이다.

    (i) n=1일 때, G1(x)=f1(x)+(x22!1)ex에서

    G1(x)=f1(x)+xex+(x221)ex

    G1(x)=f1(x)+ex+xex+(x221)ex=ex(x+x22)>0

    이고 G1(0)=f1(0)1=0이므로 G1(x)>0이다. 따라서 G1(x)는 증가함수이고 G1(0)=0이므로 x>0일 때, G1(x)>0이다.

    (ii) n=k일 때, Gk(x)=fk(x)+xk+1ex(k+1)!ex>0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Gk+1(x)=fk+1(x)+xk+2ex(k+2)!ex에서 미분하면

    Gk+1(x)=fk+1(x)+xk+1ex(k+1)!+xk+2ex(k+2)!ex={fk(x)+xk+1ex(k+1)!ex}+xk+2ex(k+2)!=Gk(x)+xk+2ex(k+2)!>0

    이므로 Gk+1(x)는 증가함수이다. 또 Gk+1(0)=fk+1(0)1=11=0이다. 따라서 x>0일 때 Gk+1(x)>0이다.

    따라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x>0일 때, Gn(x)>0이다. 즉

    ex<fn(x)+xn+1ex(n+1)!

    (a), (b)에 의해

    fn(x)<ex<fn(x)+xn+1ex(n+1)! ( x>0 )

    이 성립한다.



    (2) (1)식의 x에 1을 대입하면

    fn(1)<e<fn(1)+e(n+1)!  (iii)

    이다. 또 모든 변에 fn(1)을 빼고 fn(1)=1+11!+12!+13!++1(n1)!+1n!을 대입하면

    0<e(1+11!+12!+13!++1(n1)!+1n!)<e(n+1)!

    이다. 여기에 n!를 곱하자. 그러면 n2인 정수일 때,

    0<n!e(n!+n!1!+n!2!+n!3!++n!(n1)!+n!n!)<e(n+1)!×n!

    이다. 이를 간단히 하면

    0<n!e(n!+n!++n(n1)(n2)+n(n1)+n+1)<e(n+1)!×n!<e3!<1

    이다. 따라서 이것을 재배열하면

    0<n!e[n!+1+{n+n(n1)+n(n1)(n2)++n!}]_<1  ()

    이다.

    (3) 귀류법으로 증명하자. 만약 e가 유리수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e=qp (p, q는 정수, p0p, q는 서로소)라 둘 수 있다. 그리고 p!e는 자연수이므로 그런데 ()식의 n에 p를 대입하면 밑줄 친 부분은 자연수가 된다. 

    그러나 0과 1사이에는 자연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모순이다. 따라서 e는 유리수가 아니다. 즉 무리수이다.

     

    https://youtu.be/-Rp3dpgTl8k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