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ABOUT ME

울산 옥동에 있는 더플러스수학학원블로그입니다. 수능, 교육청, 삼사, 경찰대 등의 문제 풀이 동영상, 서울대 등 심층면접문제, 수리논술문제 풀이 영상 제공, 학생이 자기주도적 학습에 도움준다. 또, 울산과고를 위해 교과서인 심화수학, 고급수학, AP Calculus 등의 수업학교프린트 풀이를 제공한다. 여기의 풀이영상은 학원의 유투브인 더플러스수학(https://youtube.com/@THEPLUSMATH)에 있다.

Today
Yesterday
Total
  • [더플러스수학] 대칭행렬과 교대행렬
    수학과 공부이야기/선형대수학 2021. 8. 20. 22:33

    정의1. 전치행렬(transpose matrix)

    행렬 A=(aij)m×nMm×n(R)에 대하여 행과 열을 바꾼 새로운 행렬 B=(bij)n×mMn×m(R)을 행렬 A의 전치행렬이라 하고  AT로 쓴다. 여기서 bij=aji이다.

    노트) Mm×n(R)은 성분이 모두 실수인 m×n행렬의 집합을 나타낸다. 

    예제) 행렬 A=(123456)에 대하여 AT을 구하면 A=(142536)이다.

     

    정리2. 전치행렬의 성질
    두 행렬 A, BMm×n(R)과 행렬 kR)에 대하여
    (1) (AT)T=A
    (2) (A+B)T=AT+BT
    (3) (kA)T=kAT

    (증명)?

     

    정리3. 두 행렬 AMl×m(R), BMm×n(R)에 대하여

    (AB)T=BTAT

    증명)

    2021.08.20 - [수학과 공부이야기/선형대수학] - [더플러스수학] (AB)^T=B^T A^T 증명 (전치행렬의 성질)

     

    [더플러스수학] (AB)^T=B^T A^T 증명 (전치행렬의 성질)

    (AB)T=BTAT을 증명해보자. 먼저 행렬 Al×m행렬, 행렬 Bm×n 행렬이라 하자. 행렬 \(\d..

    plusthemath.tistory.com

     

    정의4. 대칭행렬(symetric matrix)

    정사각행렬 AMn×n(R)에 대하여

    AT=A

    를 만족하는 행렬 A대칭행렬이라 한다.

     

    예) 다음 행렬 A는 대칭행렬이다. 

    A=(1221)

     

    정의5. 교대행렬(alternating matrix)

    정사각행렬 AMn×n(R)에 대하여

    AT=A

    를 만족하는 행렬 A 교대행렬이라 한다.

     

    예) 다음 행렬 A는 교대행렬이다. 

    A=(023201310)

     

    정리6. 임의의 정사각행렬 AMn×n(R)는 다음과 같이 대칭행렬과 교대행렬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고 그 표현 방법은 유일하다.

    A=12(A+AT)+12(AAT)

    (증명) 일단 위의 식의 좌변을 계산하면 우변이 나오므로 위의 식이 성립한다.

    여기서 12(A+AT)가 대칭행렬이고 12(AAT)이 교대행렬임을 보이면 된다. 유일성은 그 다음에 보이겠다.

    행렬 12(A+AT)의 전치행렬을 구해보면

    {12(A+AT)}T=12(AT+(AT)T)=12(A+AT)

    이므로 행렬 12(A+AT)은 대칭행렬이다.

    또, 행렬 12(AAT)의 전치행렬을 구해보면

    {12(AAT)}T=12(AT(AT)T)=12(ATA)=12(AAT)

    이므로 행렬 12(AAT)은 교대행렬이다.

    이제 유일성을 보이자. 행렬 A가 위와 다른 대칭행렬 B와 교대행렬 C의 합으로 나타내어 진다고 하자. 즉

    A=B+C   (3)

    행렬 B가 대칭행렬이므로

    BT=B

    이다. 또 행렬 C가 교대행렬이므로

    CT=C

    위의 성질을 이용하기 위해 (3)의 전치행렬을 구하면

    AT=(B+C)T=BT+CT=BC   (4)

    (3)과 (4)를 더하면

    B=12(A+AT)

    (3)에서 (4)를 빼면

    C=12(AAT)

    따라서 대칭행렬과 교대행렬은 오직 하나 뿐이다.

     

     

    정리6의 증명은 "임의의 함수는 우함수와 기함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고 그 방법은 유일하다"는 명제와 풀이가 비슷하다.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기를......

    https://plusthemath.tistory.com/217

     

    [우함수 기함수] 함수 우함수와 기함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를 만족하는 함수 f(x)를 우함수(even-function), f(x)=f(x)를 만족하는 함수 f(x)를 기함수(odd-function)이라 한다. "임의의 함수 f(x)는 다음과 같이 우함수..

    plusthemath.tistory.com

     

     

    정의7. 정사각행렬 A=(aij)n×nMn×n(R)에 대하여 대각합 tr(A)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tr(A)=a11+a22++ann=ni=1aii

     

    예) 행렬 A=(123456789)에 대하여 tr(A)=1+5+9=15이다.

     

    예) 교대행렬 A는 대각합 tr(A)=0이다. 왜냐하면 AT=A이므로 aii=aii이므로 aii=0이기 때문이다.

     

    정리8. 두 정사각행렬 A=(aij)n×n, B=(bij)n×nMn×n(R)kR)에 대하여 대각합 은 다음의 성질을 만족한다.
    (1) tr(A+B)=tr(A)+tr(B)
    (2) tr(kA)=ktr(A)

    (증명)

     

     

     

    정리9. 두 정사각행렬 A=(aij)n×n, B=(bij)n×nMn×n(R)에 대하여

    tr(AB)=tr(BA)

    이다.

    (증명)

    AB=(a11a1nai1aikainan1ann)(b11b1ib1nb21b2ib2nbkibn1bnibnn) 

    n×n 행렬 AB(i, i) 성분은 행렬 Ai행과 행렬 Bi열의 내적이다. 즉

    ai1b1i+ai2b2i++ainbni=nk=1aikbki

    이다. 이 식의 i1, 2, , n을 대입하여 나열하면

    a11b11+a12b21++a1kbk1++a1nbn1a21b12+a22b22++a2kbk2++a2nbn2        an1b1n+an2b2n++ankbkn++annbnn   (1)

    또, 행렬 BA를 계산하면

    BA=(b11b1nbi1bikbinbn1bnn)(a11a1ia1na21a2ia2nakian1aniann) 

    에서 n×n 행렬 BA(i, i) 성분은 행렬 Bi행과 행렬 ai열의 내적이다. 즉

    bi1a1i+bi2a2i++binani=nk=1bikaki

    이다. 이 식의 i1, 2, , n을 대입하여 나열하면

    b11a11+b12a21++b1kak1++b1nan1b21a12+b22a22++b2kak2++b2nan2        bk1a1k+bk2a2k++bkkakk++bknank        bn1a1n+bn2a2n++bnnann++bnnann   (2)

    (1)의 세로로 사각형으로 된 부분과 (2)의 가로로 사각형으로 된 부분이 k=1, 2, , n일 때도 항상 같으므로 (1)의 합과 (2)의 합이 서로 같고 이것이 바로 대각합이다. 즉 tr(AB)=tr(BA)이다.

     

     

    정리9. 두 정사각행렬 A=(aij)n×n에 대하여

    tr(A)=tr(AT)

    이다.

    (증명)

     

     

    과학고 내신대비와 대학입시를 위해서는 다음의 글을 참조하세요. 다양한 글이 있습니다.

    http://mathhowtosolveit.com/%EA%B3%BC%ED%95%99%EA%B3%A0-%ED%95%99%EB%85%84%EB%B3%84-%EB%82%B4%EC%8B%A0%EB%8C%80%EB%B9%84-%EC%98%88%EC%83%81%EB%AC%B8%EC%A0%9C

    더플러스수학 https://www.youtube.com/@THEPLUSMATH/channels

    더플러스수학 블로그 https://plusthemath.tistory.com/

    더플러스수학 네이버블로그 https://m.blog.naver.com/plusthemath

     

     

    댓글

Designed by Tistory.